(이 블로그에서는 예시로 JAVA_HOME, ANDROID_HOME이라는 이름으로 2개의 환경변수를 추가함)
전제 조건
1. 터미널 실행 후 cat ~/.bash_profile과 cat ~/.zshrc를 입력
(둘 중 존재하는 파일을 수정하면 됨. 이 예시에서는 .zshrc 파일이 존재함)
2. vi ~/.zshrc를 입력
3. source ~/.zshrc를 입력하여 변경한 내용을 적용
4. echo $본인이 입력한 환경변수명 을 입력하여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
참고 블로그
Mac M1: 환경변수(PATH)설정하기 : ZSH Ver.
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간단한 환경변수 기본중에 기본을 설정해보려고 한다.환경변수를 설정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면, 아무래도 윈도우와 달리 맥 같은 경우 (간혹 윈도우도 비슷한 경우가 있
velog.io
2. https://velog.io/@baeyuna97/Mac-%ED%99%98%EA%B2%BD%EB%B3%80%EC%88%98-%EC%84%A4%EC%A0%95
Mac 환경변수 설정
$ export HTTP_PROXY=http://proxy:1234환경변수에 PATH변수가 등록되지만 일시적으로만 바뀌어서 터미널이 재부팅되면 사라집니다.$ echo $SHELL결과 Bash이면 ~/.bash_profile 이나 ~/.bashrc를 수정하면 되
velog.io
3. https://developer-ping9.tistory.com/194
[MAC] 환경변수 설정하는법, bash_profile 위치, source 커맨드
# 환경변수란? 시스템내(내 컴퓨터)에서 변수이름으로 값을 참조할 수 있게 세팅하는 변수 자바, 파이썬, 노드JS, 여러 IDLE 등을 다룰 때 흔하게 접하는 단어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실행할 때 또는
developer-ping9.tistory.com
mac 기존 환경 변수(PATH) 수정 (0) | 2023.09.23 |
---|---|
homebrew로 설치한 프로그램 목록 확인 방법 (0) | 2023.09.19 |
mac에 프로그램 설치 시 반드시 명심해야 하는 점 (0) | 2023.09.18 |
homebrew 설치 (0) | 2023.09.10 |
mac 터미널 열기 (0) | 2023.09.10 |